본문 바로가기
공부일지/질의응답(with chatGPT)

Q. s&p500 지수가 1% 오르면, 이 지수를 추적하는 etf가격도 1% 오르게 설계되어 있다고 했는데, s&p500 안에 모든 주식을 공평하게 사서 그런걸까? (예: s&p500 기업들을 0.2%씩 500개의 기업의 주식을 모두 구매)

by na_log 2025. 4. 11.
728x90
반응형
"다른 사람의 질문을 보며 다양한 관점을 배울 수 있고, 제가 공부하며 생긴 질문과 ChatGPT의 답변을 공유함으로써 함께 성장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. 늘 지식 공유는 환영하며 댓글을 통해 저의 또 다른 스승이 되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"

 

*

ChatGPT 답변

*

 

좋은 질문이에요! 아주 핵심을 잘 짚었어요. 말 그대로 S&P500 ETF가 지수를 따라가도록 설계된 건, ETF 안에 있는 종목들이 지수와 비슷한 비중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에요. 그런데 단순히 “500개 기업을 0.2%씩 공평하게” 나눠 사는 건 아니에요.

🔍 실제로는 "시가총액 비중"대로 구성돼요!

S&P500 지수는 **"시가총액 가중 방식"**으로 만들어진 지수예요.
즉, 각 기업의 시가총액이 클수록 그 기업이 지수에 더 큰 영향을 미치도록 설계된 거죠.

예를 들어:

회사시가총액지수 내 비중(예시)
애플 아주 큼 6%
마이크로소프트 5.5%
중간 규모 회사 작음 0.2%

👉 그래서 ETF도 똑같이 따라 해요:

S&P500을 추적하는 대표 ETF인 SPY, IVV, VOO 같은 것들은
애플을 전체 ETF 자산의 약 6%만큼, 마이크로소프트를 5.5%만큼 사는 식으로 구성해요.
즉, 지수 비중 = ETF 안 주식 비중이 되도록 맞추는 거예요.


그래서 결과적으로는?

  • S&P500 지수가 1% 오르면,
    그걸 똑같은 비중으로 따라가는 ETF도 거의 1% 오르도록 설계돼 있어요.
    • 단, 약간의 오차는 있을 수 있어요. (운용비용, 리밸런싱 시차 등)

정리하자면:

❌ “500개 기업을 0.2%씩 공평하게” 아님
✅ “시가총액이 큰 기업에 더 많이 투자”가 맞음
🧠 그래서 S&P500 지수의 움직임을 거의 똑같이 추적할 수 있는 거예요.
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