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"다른 사람의 질문을 보며 다양한 관점을 배울 수 있고, 제가 공부하며 생긴 질문과 ChatGPT의 답변을 공유함으로써 함께 성장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. 늘 지식 공유는 환영하며 댓글을 통해 저의 또 다른 스승이 되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"
*
ChatGPT 답변
*
좋은 질문이에요! 아주 핵심을 잘 짚었어요. 말 그대로 S&P500 ETF가 지수를 따라가도록 설계된 건, ETF 안에 있는 종목들이 지수와 비슷한 비중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에요. 그런데 단순히 “500개 기업을 0.2%씩 공평하게” 나눠 사는 건 아니에요.
🔍 실제로는 "시가총액 비중"대로 구성돼요!
S&P500 지수는 **"시가총액 가중 방식"**으로 만들어진 지수예요.
즉, 각 기업의 시가총액이 클수록 그 기업이 지수에 더 큰 영향을 미치도록 설계된 거죠.
예를 들어:
회사시가총액지수 내 비중(예시)
애플 | 아주 큼 | 6% |
마이크로소프트 | 큼 | 5.5% |
중간 규모 회사 | 작음 | 0.2% |
👉 그래서 ETF도 똑같이 따라 해요:
S&P500을 추적하는 대표 ETF인 SPY, IVV, VOO 같은 것들은
애플을 전체 ETF 자산의 약 6%만큼, 마이크로소프트를 5.5%만큼 사는 식으로 구성해요.
즉, 지수 비중 = ETF 안 주식 비중이 되도록 맞추는 거예요.
그래서 결과적으로는?
- S&P500 지수가 1% 오르면,
그걸 똑같은 비중으로 따라가는 ETF도 거의 1% 오르도록 설계돼 있어요.- 단, 약간의 오차는 있을 수 있어요. (운용비용, 리밸런싱 시차 등)
정리하자면:
❌ “500개 기업을 0.2%씩 공평하게” 아님
✅ “시가총액이 큰 기업에 더 많이 투자”가 맞음
🧠 그래서 S&P500 지수의 움직임을 거의 똑같이 추적할 수 있는 거예요.
728x90
반응형
'공부일지 > 질의응답(with chatGPT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Q. 미국 연준이 단기 금리는 통제할 수 있는데 장기 금리는 힘든 이유가 뭐야? (2) | 2025.04.13 |
---|---|
Q. 국채 금리가 상승하면 인플레이션을 잡아줘? (2) | 2025.04.13 |
Q. 은행주가 경기에 민감한 종목인 이유가 뭐야? 오히려 일반 회사가 더 경기에 민감하지 않아?(예: 삼성전자) (2) | 2025.04.11 |
Q. 요즘 트럼프 관세 전쟁으로 국장에서 은행 주가가 하락하는 이유는 뭐야? (2) | 2025.04.11 |
Q. 원래 물가가 올라가면 금리를 올리려고 하잖아. 그런데 왜 요즘 물가가 올라가는데 한국은행 기준 금리가 내려가는걸까? (0) | 2025.04.11 |